총 삽질들 514

[Surro] :: 2. Network 기본개념(2)

2.네트워크의 기본 개념(2) -네트워크 범주 -LAN(Local Area Network) *개인 컴퓨터간의 자원 공유를 목적으로 설계. *버스, 링, 스타형 사용. -MAN(Metroplitan Area Network) *네트워크를 전체 도시로 확장시킨 것. *여러 개의 LAN으로 구성. -WAN(Wide Area Network) *국가, 대륙 또는 전 세계를 포괄하는 광대역 네트워크. *거리의 제한이 없음. -프로토콜 : 통신을 통제하기 위한 규칙을 모아놓은 것. -주요 요소 *구문(systax) : 데이터 구조나 형식. (데이터의 형식, 부호화, 신호레벨의 정의, 데이터 구조와 순서에 대한 표현) *의미(semantic) : 각 비트의 의미. (해당 패턴에 대한 해석과 그 해석에 따른 전송 제어, ..

[Surro] :: 1. Network 기본 개념(1)

1. 데이터 통신 기본 개념(1) (전기 통신 telecommunication은 먼거리에서 행해지는 통신을 의미한다. - tele는 그리스 어로 '멀다'를 의미) - 데이터 : 데이터를 만들어 사용하는 사용자간에 합의된 형태로 표현된 정보 - 데이터 통신 : 전선과 같은 통신매체를 통하여 두 장치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특성 - 전달 (delivery) : 정확한 목적지에 전달, 원하는 장치나 사용자에게 전달. - 정확성 (accuracy) :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 - 적시성 (timeliness) : 데이터를 정적 시간 내에 전달 데이터 흐름 - 단방향 방식 (simplex mode) 한쪽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 한 지국은 송신만, 다른 한 지국은 수신만 가능 ex) 자..

[Surro] :: 무선랜(Wireless Lan) 관련 용어

AP(Access Point) :액세스 포인트(AP)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선 랜의 Hub에 대응되는 기기로 무선 랜과 유선 랜사이의 네트워크 접속을 관리해주는 기기다. AP상에는 여러대의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된 컴퓨터들 간의 무선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진다. 무선랜 카드(PCMCIA, USB 타입)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유선랜카드대신 무선으로 동작하는 랜카드다. ex) ZIO 휴대용 무선랜 카드 CRH-0024, EFM네트웍스 ipTIME N500U ....... IEEE :1884년에 설립된 미국 전기 학회(AIEE:Americ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와 1912년에 설립된 무선 학회(IRE:Institute of Radio E..

[Surro] :: C언어 이론 08. 구조체

8.구조체 - 구조체란? : 하나 이상의 변수를 그룹 지어서 새로운 자료형을 정의하는 것 : 관련 있는 데이터를 하나의 자료형으로 묶을 경우, 관리하기가 편리해지고, 프로그램의 코드도 한결 간결해진다. >사용자 정의 자료형 :기본 자료형 변수를 묶어서 새로운 자료형을 만드는 것. - 형식 struct point // point라는 이름의 구조체 선언 { int x; // 구조체 멤버 int x; int y; // 구조체 멤버 int y; }; :point라는 이름의 구조체를 정의합니다. 이 구조체는 int형 변수 x와 y로 이뤄져있습니다. +구조체 정의와 구조체 변수의 선언을 동시에 하기 -형식 struct point { int x; int y; } p1, p2, p3; :point라는 구조체를 정의하고..

[Surro] :: C언어 이론 07. 포인터

7.포인터 -포인터란? : 메모리의 주소 값을 저장하기 위한 변수 : 포인터의 변수의 크기는 4바이트 (컴퓨터의 주소체계가 4바이트로 표현된다는 것을 의미) : * 연산자를 사용하여 포인터를 선언 : 포인터의 타입은 메모리를 참조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 &연산자 : 주소값을 참조할 때 사용한다 ex) int main(void) { int a = 2005; int* pA = &a; ....... } + *연산자 : 포인터가 가리키는 메모리 참조 ex) int main(void) { int a = 2005; int* pA = &a; printf("%d",pA); printf("%d",*pA); // 2005출력 ....... } ex) #include int main(void) { int a =..

[Surro] :: C언어 이론 06. 배열

6.배열 -배열이란? :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같은 자료형을 가진 변수들을 한번에 정의 -종류 >1차원 배열 :첫번째 배열 요소의 인덱스는 0이다 배열의 길이를 선언 할 때는 반드시 상수를 사용해야한다 ex) int size = 10; int arr[size]; // ERROR!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가 가능하다 +형식 int array[10]; int : 배열 요소 자료형 - 배열을 구성하는 각각의 요소는 int형 변수라는 의미 array : 배열 이름 - 배열 요소에 접근할 때 array라는 이름을 사용하겠다는 의미 [10] : 배열 길이 - 변수 10개를 모아서 배열을 구성한다는 뜻 ex) #include int main(void) { double total; d..

[Surro] :: C언어 이론 05. 함수

5.함수 -함수란? : 여러 번 반복되는 중복된 프로그래밍을 최소화 하는 것 함수의 정의 : 만들어진 함수, 실행이 가능한 함수를 일컬음 함수의 호출 : 함수의 실행을 명령하는 행위 인자의 전달 : 함수의 실행을 명령할 때 전달하는 입력 값 -종류 >일반 +형식 ex) int main(void) { 함수의 몸체 } int : 출력의 형태 main : 함수의 이름 void : 입력의 형태 즉, 출력의 형태가 int이고 입력의 형태가 void인 main이라는 이름의 함수 ex) #include int Large_Num(int a, int b); // 함수 원형 선언 int main(void) { printf("3과 4중에서 큰 수는 %d 이다. \n",Large_Num(3,4)); // 함수 호출 print..

[Surro] :: C언어 이론 04. 조건문

4. 조건문 -조건문이란? : 프로그램의 흐름을 조건에따라 분기시키게 해준다. -종류 >if문 :if - 조건을 내걸 때 사용 else if - if문의 조건을 불만족시에 실행 else - 이도 저도 아닐 때 실행 +형식 if( 조건 1) { 조건 1 만족 시 실행 } else if (조건 2) { 조건 2 만족 시 실행 } else { 이도저도 아닐 시 실행 } ex) #nclude int main(void) { int val; printf("정수 입력 : "); scanf("%d",&val); if(val < 0) printf("입력 값은 0보다 작다 \n"); else if(val == 0) printf("입력 값은 0이다 \n"); else printf("입력 값은 0보다 크다 \n"); retu..

[Surro] :: C언어 이론 03. 반복문

3. 반복문 - 반복문이란? : 효율적으로 반복된 명령을 내리는 것. - 종류 > while 문 : 특정 조건을 주고 그 조건이 만족될 때까지 계속해서 반복하는 것. 조건이 만족하지 않으면 한번도 실행되지 않는다. +형식 while(반복조건) { 반복내용 } ex) #include int main(void) { int val; int i = 1; printf("출력하고자 하는 구구단은 몇단인가? :"); scanf("%d",&val); while(ido~while 문 : while문은 반복의 조건검사를 앞에서 하지만, do~while문은 반복의 조건 검사를 뒤에서 한다. do~while문은 반드시 한번은 루프를 실행하게 되어있다. +형식 do { 반복내용 }while(반복의 조건); ex) #includ..

[Surro] :: C언어 이론 01-02. 데이터 표현방식 및 자료형 기본

1.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정수의 표현 방식 :모든 정수의 가장 왼쪽에 있는 비트는 부호 비트이다. (양수 = 0, 음수 = 1) :가장 왼쪽 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은 데이터 크기를 나타낸다. ex) 0(부호의 표현)0000000(데이터 크기 표현) +음수를 표현할 때에는 2의 보수 체계를 기억해야 한다. :1의 보수를 취한다. > 1을 더한다 ex) 00000101 (+5) 11111010 (1의 보수를 취한다) 11111011 (1을 더한다) >> -5 +컴퓨터가 실수를 표현하는 방식은 오차를 지닌다. :넓은 범위의 실수를 표현할 수 있다는 장점과 더불어 오차가 존재한다는 단점도 지닌다. >비트 단위 연산 :& (AND) : 두 개의 비트가 모두 1일 때 1을 반환 | (OR) : 두 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