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Router)
- 지능을 가진 경로 배정기
> 외부에 어떤 인터넷 사이트를 찾아가는 데이터가 있다면 라우터는 이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빠르고 효율적인 길을
스스로 찾아 안내해주는 기능을 하고있다.
- Layer 3 장비. (Layer 3,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 Path Determination(경로 결정)
>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갈 수 있는 길을 검사하고 어떤 길로 가는 것이 가장 적절한지를 결정.
- Switching(스위칭)
> 경로 결정후 정해진 경로로 데이터 패킷을 스위칭해준다.
- CPU, 메모리, 인터페이스(라우터에 나와있는 접속 가능한 포트)를 가지고있다.
> 라우팅 프로토콜(라우팅 알고리즘)을 사용하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 사용한다.
>> 좋은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서.
- 라우티드 프로토콜(Routed Protocol)
: 라우팅을 당하는, 라우터가 라우팅을 해주는 고객.
>ex. TCP/IP, IPX는 고객으로 라우터라는 자동차를 타고 다른 네트워크로 여행을 떠나는 것.
-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 라우터에 살면서 라우티드 프로토콜들에게 목적지까지 가장 좋은 길을 갈 수 있게 해주는 역활을 한다.
>자동차를 안전하고 빠르게 운전하는 운전기사.
= 라우팅 알고리즘 : 자신의 라우팅 테이블을 가지고 있으면서 자기가 찾아갈 경로에 대한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한다.
라우팅 프로토콜(Routing Protocol)
-스태틱(Static) 라우팅 프로토콜
> 정적인. 한 번 정해놓으면 정해진 그대로 수행하는 프로토콜.
> 라우터에 사람이 일일이 경로를 입력해줘야 한다.
> 라우터는 사람이 입력한 경로로 데이터를 보내기만 한다.
>> 라우터 속도가 빨라지고 성능이 좋아진다. 메모리도 적게 든다.
> 라우터들끼리 라우팅 테이블을 교환할 필요가 없다.
>>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한다.
> 보안에 강하다.
> 수동적이다.
>> 사람이 입력해준 경로에 문제가 발생해도 경로가 고쳐지기 전까지 입력된 경로에 데이터를 보내려고 한다.
-다이나믹(Dynamic) 라우팅 프로토콜
> 동적인. 상황에 따라서 변화가 가능한 프로토콜.
> 라우터에 부담이 간다.
* 적은 규모의 네트워크에 연결된 라우터 = 스태틱 라우팅 프로토콜
네트워크 센터와 같이 많은 경로를 처리하는 경우 = 다이내믹 라우팅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 라우터가 어떤 경로를 찾을 때 사용.
- 사용하는 라우터의 프로토콜에 따라 달라진다.
'삽질의 현장 >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rro] :: Network 스위치(2) (0) | 2014.01.07 |
---|---|
[Surro] :: Network 스위치 (0) | 2014.01.05 |
[Surro] :: 네트워킹 basic (3) (0) | 2014.01.04 |
[Surro] :: 네트워킹 basic (2) (0) | 2014.01.03 |
[Surro] :: 네트워킹 basic (1) (0) | 201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