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 링크
-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된 한 덩어리의 기기.
- 네트워크 층과 물리 층의 중개자.
- 데이터 링크간의 차이를 흡수, 네트워크 층보다 위에 있는 층이 그 차이를 의식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데이터 링크 층의 역할.
1-1 데이터 링크층의 프로토콜
- 데이터 링크 안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주고받을지를 결정하는 것.
1-2 데이터 링크 구성요소
- 노드 : 데이터 링크 상에 있는 기기.(컴퓨터, 라우터 등)
- 통신 매체 : 노드 간을 연결하는 케이블 등. (금속선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무선)
- 노드와 통신 매체를 연결하는 기기 : 비트열과 신호를 변환하는 것(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 NIC, 모뎀 등)
+ NIC : 컴퓨터에서 네트워크로 가는 통로.
1-3 MAC (Media Access Control) 주소
- NIC에 할당된 고유 번호. >> 이 번호를 사용하여 기기를 정함
- 네트워크가 지나갈 때는 IP주소, 데이터 링크 층 안으로 들어간 후에는 MAC 주소가 사용됨.
1-4 브로드 캐스트 MAC 주소
- 같은 데이터 링크 내에 있는 모든 기기에게 보낼 수 있는 MAC 주소. > ff:ff:ff:ff:ff:ff
- ARP 프로토콜 사용함으로 IP 주소를 가지고 MAC주소를 조사할 수 있음.
1-5 이더넷
- 이더넷에서는 네트워크 상의 모든 기기에게 신호를 보내고, 해당하는 기기만 받는 방법으로 프레임을 주고 받는다.
- CSMA/CD 방식을 쓴다.
+ CSMA/CD
(노드 a에서 노드 b로 데이터를 송신할 때)
1. 송신전 송신 중인 다른 노드가 없는지 조사.
2. MAC 주소 : b앞으로 데이터를 보낸다.
+충돌을 감지했을 때는 조금 있다가 다시 보낸다.
3. 자기 앞으로 온 것일 때 회수한다.
1-6 데이터 링크상의 기기
- 리피터 : 네트워크상에 신호를 보정하고 신호의 일그러짐을 방지하는 기기
- 브리지 : 신호의 보정에 덧붙여 서로 다른 두 개의 데이터 링크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기기
- 허브 : 네트워크 상에서 케이블을 분기하기 위한 기기, 하나의 신호를 여러개의 케이블로 보내기 위해 신호를 증폭하는 기기.
2. 물리 층
- 데이터 링크안에서 신호가 흐르고 있는 부분.
- 네트워크간에 연결된 다양한 물리적 매체의 데이터 전달을 담당한다.
> 물리적 매체들을 견결하기 위한 전기적, 물리적 세부 사항들을 정의한다.
<참조 : TCP/IP가 보이는 그림책>
'삽질의 현장 >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rro] :: 네트워킹 basic (1) (0) | 2014.01.03 |
---|---|
[Surro] :: 6. 라우팅 (0) | 2013.11.20 |
[Surro] :: 4. 네트워크 층 (0) | 2013.11.20 |
[Surro] :: 3. 트랜스포트 층 (0) | 2013.11.20 |
[Surro] :: 2. 애플리케이션 층 (0) | 2013.1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