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삽잡이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TCP 서버와 클라이언트간 실제로 실행이 되는 결과를PC에서 확인하고, 연결 역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배워온 대기 소켓, 통신 소켓을 실제로 확인해보는 것입니다.서버와 클라이언트를 통신하기 위한 코드를 보는 것이 아닌,결과 창만을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TCP 서버에서 listen() 함수가 성공적으로 return 이 되면 대기 큐가 생긴다고 했습니다. cmd 창에서 netstat -a 명령어를 쳐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해보겠습니다. 본인은 9000번 포트를 통해 소켓을 하나 생성했습니다.이에 'LISTENING' 상태의 TCP 서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즉, 대기 소켓의 정보를 확인한것입니다.'로컬 주소'는 내 정보를 말하는 것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