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를 작성하다보면
여러 경우에 대한 case를 작성해야할 경우들이 있습니다.
우리는 if문, switch문과 같은 조건문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조건에 따라서
정의한 두가지의 표현식중 하나를 반환하도록
아주 깔~~끔하게
한 줄로 작성할 수 있는 사실을 아십니까!?
예 그렇습니다.
바로!!!!
입니다.
아... 그... if ~ else 축약 시킨거 같은...?
그래 삽잡이야~ 똑똑하구나~~~
예 그렇습니다.
복잡해 보이는 식을 간단하게 한 줄로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단 한줄로
깔끔하게 조건문을 작성할 수 있다 이겁니다.
1 2 3 4 5 | if(name == '삽잡이') { system.out.println("나는 삽잡이야~"); } else { system.out.println("나는 삽잡이가 아닌데~~"); } | cs |
이와 같은 문장을 삼항연산자를 통해 사용하게 되면
1 | (name == '삽잡이') ? system.out.println("나는 삽잡이야~") : system.out.println("나는 삽잡이가 아닌데~~"); | cs |
이렇게 됩니다.
예... 뭐... 사실
띄워쓰기만 줄인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지고 계실 수 있습니다.
물론 그냥 if-else 문 쓸래 하시는 분들은 그냥 쓰시면 됩니다.
그런데 역시 인생은
Case By Case 아니겠습니까!?
조건과 조건에 맞는 실행문이 단순하다면,
if-else문 보다 더 가독성이 좋을 때도 있어서 저는 자주 애용합니다.
굳~
'삽질의 현장 >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삽잡이::vm] VirtualBox Unable to allocate and lock memory 에러 해결방법 (0) | 2016.07.09 |
---|---|
html과 PHP 그리고 Javascript의 관계 (0) | 2016.07.03 |
[삽잡이::형상관리] 형상관리 시스템들에서 쓰이는 기능들! (0) | 2016.06.29 |
[삽잡이::형상관리] 분산관리시스템(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 !? (0) | 2016.06.29 |
[삽잡이::정규표현식]정규표현식(Regular Expression)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16.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