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렬(선택, 버블, 삽입, 병합)들을
다시 한번 정리해봐야 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정리해두었던 글들을
보고 있는데... 좀 어렵다....
하....
물론 코드로 되어있고,
기존 방식들과 좀 다르게 구현된 것들도 있어서 그렇겠지만...
우선은 각 정렬들에 대한 정의 이해가 부족한 상태로
다시 코드를 봐서 그런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습니다!
기사79에서 잘 나온 그림이 있어서 참고하여 올립니다.
(문제시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선택 정렬에 대한 진행도 입니다.
다음으로 버블 정렬에 대한 진행도입니다.
그리고 삽입 정렬에 대한 진행도입니다.
마지막으로 병합 정렬에 대한 진행도 입니다.
A, B 배열을 비교해가며 하나로 합칠 수 있지요.
이렇게 정렬되어지는 과정에 대한 도식화를 이해하게 된다면
쉽게 알고리즘에 대해서
특히나, 정렬에 대한 원리를 이해할 수 있겠지요?
굳~
'삽질의 현장 >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9_자료구조와 알고리즘_Hash Table 및 의사 결정 알고리즘 (0) | 2015.08.30 |
---|---|
#018_자료구조와 알고리즘_그래프 (0) | 2015.08.22 |
#017_자료구조와 알고리즘_Heap 정렬 (0) | 2015.08.22 |
#016_자료구조와 알고리즘_ 균형잡힌 이진 탐색 트리? (0) | 2015.08.22 |
#015_자료구조와 알고리즘_수식 트리 (0) | 2015.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