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터넷 주소 (Internet Adress)
- 인터넷에 컴퓨터를 연결해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는 IP주소를 부여 받아야함.
- IP는 컴퓨터를 구분하기 위한 목적으로 존재
-IPv4 : 4바이트 주소체계
-IPv6 : 16바이트 주소체계
- IPv4 기준의 4바이트 IP주소는 네트워크 주소 + 호스트 ( 컴퓨터) 주소로 나뉜다.
- 네트워크 주소 (Network ID)란 네트워크 구분을 위한 IP주소의 일부를 말함.
> ex) www.kontrolle.com 이라는 회사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처음부터 4Byte IP주소 전부를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1. IP주소 중에 네트워크 주소만 참조해서 일단 tistory.com의 네트워크로 데이터가 전송된다.
2. kontrolle.com의 네트워크로 데이터가 전송됬다면, 해당 네트워크는 전송된 데이터의 호스트 주소를 참조하여 surro의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해준다.
2. PORT 번호
- PORT 번호는 하나의 운영체제 내에서 소켓을 구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 컴퓨터 내부로 전송된 데이터를 소켓에 적절히 분배하는 작업은 운영체제가 담당한다. 이 때 운영체제는 PORT번호를 활용한다. 즉 NIC( Network Interface Card)을 통해서 수신된 데이터 안에는 PORT번호가 새겨져 있다. 운영체제는 이 정보를 참조해서 일치하는 PORT번호의 소켓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참조 : 열혈 TCP/IP 소켓 프로그래밍>
'삽질의 현장 >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삽잡이::JPEG] JPEG에 대해서...(2) (0) | 2014.01.20 |
---|---|
[삽잡이::JPEG] JPEG에 대하여... (1) (0) | 2014.01.20 |
[삽잡이::Socket] Socket 프로그래밍 구조 (client) (0) | 2013.09.16 |
[삽잡이::Socket] Socket 프로그래밍 구조 (server) (0) | 2013.09.15 |
[삽잡이::Socket] 소켓의 이해 (0) | 201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