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데이터 통신 기본 개념(1)
(전기 통신 telecommunication은 먼거리에서 행해지는 통신을 의미한다. - tele는 그리스 어로 '멀다'를 의미)
- 데이터 : 데이터를 만들어 사용하는 사용자간에 합의된 형태로 표현된 정보
- 데이터 통신 : 전선과 같은 통신매체를 통하여 두 장치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기본 특성
- 전달 (delivery) : 정확한 목적지에 전달, 원하는 장치나 사용자에게 전달.
- 정확성 (accuracy) : 데이터를 정확하게 전달.
- 적시성 (timeliness) : 데이터를 정적 시간 내에 전달
데이터 흐름
- 단방향 방식 (simplex mode)
한쪽 방향으로만 통신이 가능
한 지국은 송신만, 다른 한 지국은 수신만 가능
ex) 자판, 모니터
- 반이중 방식 (half-duplex mode)
각 지국들은 송, 수신이 가능
각 지국간 동시에 송신 불가
ex) 민간 방송용 라디오(CB radio)
- 전이중 방식(full-duplex mode)
양쪽 지국간 동시에 송/수신이 가능
신호는 링크의 용량을 공유해서 양방향으로 전달
ex) 전화
네트워크 : 전송 매체 링크로 서로 연결된 장치(노드 : node, 컴퓨터나 프린터)의 모임
평가기준
-성능(performance) : 전달시간 (transit time), 응답시간(response time), 처리율(troughput)과 지연(delay)
-신뢰성(reliability) : 고장의 빈도수, 고장난 후 링크를 복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보안(security) : 불법적인 접속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보호
Topology : 물리적 혹은 논리적인 네트워크 구조
-그물형(mesh) 접속 형태
*모든 장치는 다른 장치와 점대점 링크.
*장점)
*원할한 자료 전송의 보장 - 점 대 점 전용 링크 제공.
*높은 안정성.
*비밀 유지와 보안.
*결함 식별과 분리가 비교적 용이.
*단점)
*케이블의 양과 요구되는 I/O 포트 수.
*설치와 재구성의 어려움.
-별형(star) 접속 형태
*허브(hub)라는 중앙 제어장치와 전용 점 대 점 링크 구성.
*각 장치간 직접정인 통신 불가.
*모든 전송은 제어 장치를 통해 전송.
*1개의 채널, I/O포트가 요구.
*장점)
*그물형 접속형태보다 적은 비용.
*설치시 재구성이 용이.
*단점)
*허브가 고장나면 전체 시스템 고장.
-버스형(bus) 접속 형태
*다중점 형태
*탭(tap)과 유도선(drop line)에 의해 버스에 연결
*장점)
*설치가 쉽다.
*가장 적은 양의 케이블 사용.
*단점)
*재구성이나 결함 분리의 어려움.
*중추 케이블의 결함시 다수의 장치에 영향을 줌.
-링형(ring) 접속 형태
*자신의 양쪽에 위치한 장치와 전용 점 대 점 회선을 구성.
*각 장치는 중계기를 포함.
*장점)
*설치와 재구성이 쉽다.
*신호는 항상 순환.
*경보(일정 시간내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시 위치를 경보)사용.
*단점)
*단방향의 경우 링의 결함시 전체 네트워크 마비.
*해결책)
*이중 링 또는 결함 지점의 단절 스위치 사용을 통해 해결.
-트리형(tree) 접속 형태
*별형(star) 접속 형태 보다 하나의 중앙 허브에 더 많은 장치 연결 가능.
*여러 컴퓨터로부터 통신을 분리하거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장점)
*트래픽 처리 능력과 신뢰성이 우수.
*사용예)
*화상 처리 등의 특수 분산 처리용 컴퓨터 통신망에서 주로 이용되는 방식.(광역 통신망)
<참조 : 대학 강의 자료>
'삽질의 현장 >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rro] :: 3. 트랜스포트 층 (0) | 2013.11.20 |
---|---|
[Surro] :: 2. 애플리케이션 층 (0) | 2013.11.20 |
[Surro] :: 1. Intro (0) | 2013.11.20 |
[Surro] :: 2. Network 기본개념(2) (0) | 2013.10.27 |
[Surro] :: 무선랜(Wireless Lan) 관련 용어 (0) | 2013.10.06 |